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istory로 보는 운영체제 1970 - 1980

반응형

1970년대

드디어 제대로 된 운영체제가 나왔어.

UNIX OS

켄 톰슨과 데니스 리치가 개발했는데, 데니스 리치는 C언어를 개발한 사람이야.

C언어를 개발하고 그걸 기반으로 UNIX 운영체제를 개발한거지.

 

운영체제 개발에 C언어가 필요했던 이유를 쉬어가는 차원에서 알아보자.

1970년대 이전에는 Assembly언어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어.

CPU, Memory의 물리적 주소를 직접 지정을 해줘야 해.

각각의 컴퓨터마다 각각 다시 개발해줘야 하는 단점

프로그래밍 복잡도가 높다는 단점도 있었어.

 

C언어가 개발된 이후에는

해당 컴퓨터에 알맞게 컴파일러가 작업을 해.

그래서 한 번 C언어로 만든 코드를 다시 작성할 필요가 없었어.

프로그래밍 복잡도도 어셈블리 언어에 비해서 굉장히 낮아졌고.

 

그래서 C언어를 기반으로 운영체제가 개발될 수 있었어.

 

UNIX 특징

현대 운영체제의 기본 기술을 모두 포함한 최초의 운영체제야.

멀티태스킹, 시분할 시스템, 멀티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 다중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지.

 

1980년대

1970년때까지는 대형 컴퓨터를 여러 명이 접속해서 사용했어.(UNIX)

하지만 80년대 들어서 Personal Computer가 등장했지. PC야.

 

인터페이스의 종류에는  CLI, GUI 두 가지가 있어.

Command Line Interface 는 cmd같은 터미널이고,

Graphic User Interface 는 우리가 보는 응용프로그램들의 겉면이야.

 

CLI -> GUI로 변화되는 시대였어.

초반에는 아직 터미널 환경이었는데, 후반에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GUI를 제공하게 됐어.

84년 1월에 최초의 GUI가 애플에서 나왔고

-> 95년도쯤 돼서 우리가 알고 있는 컴퓨터와 많이 비슷한 모습을 가진 윈도우 95가 나왔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