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Coding 프로그래밍] Chapter 3. 값을 바꿀 필요가 없다면, 상수(그리고 값의 종류)
상수의 의미
상수(constant) : '변하지 않는' 이라는 뜻의 명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에 변하지 않는 값
과학이나 수학에선 constant를 수에 한정지어 표현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에서는 문자열 또한 변하지 않으니 상수에 포함된다.
상수의 종류
정수형 int
정수를 의미하는 integer를 줄인 것
수학에서 정수란 자연수, 0, 음의 정수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정수형 상수는 말 그대로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나타낸다.
실수형 double
double이라는 키워드를 왜 사용하는지 이해하려면 컴퓨터에서 실수형을 저장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수학에서 실수는 실제로 존재하는 수, 유리수와 무리수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유리수는 비로 표현되는 수, 무리수는 비로 표현되지 않는 수이다.
실수형 상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표현하는 상수이다.
문자열형 string
여러 문자를 한 줄로 세워놓은 게 문자열이다.
a string of characters라고 부르다가 이걸 줄여 string이라고 부른다.
상수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
=
컴퓨터 세계에서 A=B 는 B에 A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상수에 이름을 붙이는 이유
코드를 읽기 쉽다.
상수에 이름을 붙여주면 코드를 읽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워진다.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이름과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상수를 한 눈에 파악하기 쉬워진다.
같은 값을 여러 번 넣을 때 편하다.
이름을 붙이면 여러 값을 일일이 고치지 않아도 이름 붙인 값만 고치면 된다.